그동안 여러분은 상기 성구에 나타나있는 적그리스도의 7년 조약이 어떤식으로 전개 될거라 생각 하셨나요. 이스라엘과 모든 이슬람국가를 한자리에 모아놓고 "야 다들 싸인해" 이렇게 할거라 생각하신 분이 대부분일 것 입니다. 7년이라는 기간 때문에 생긴 오해죠. 조약이 한꺼번에 완료된 후 7년이 지날거라고 넘겨짚어 상상했기 때문에 생긴 오해 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적그리스도의 한이레의 언약은 적그리스도가 의도한 기간이 아닙니다. 성구의 의미는 그 조약이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7년밖에 세상에는 시간이 없다는 뜻인 것입니다. 시아파와 수니파로 나뉘어진 이슬람국가들은 파벌의 대립의 문제도 있지만, 같은 파 내에서도 각국의 이익과 이념이 달라 절대로 한자리에 모아놓고 싸인을 받아낼 수 없습니다. 그러면 상기구절의 적그리스도는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요? 방법은 딱 하나 밖에 없습니다. 적그리스도에게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나라들부터 압력을 주어 하나둘씩 조약에 싸인을 하게 하는 방식이죠. 그럼으로서 조약에 참여를 안하는 나라들은 거대권력을 가지고 있는 적그리스도의 의도대로 협상테이블로 안나올 수 없게 만들어버리는 것이죠. 이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왜 놀라세요? 지금 당신의 머리속에 떠오르는 그것이 왜 당신을 놀라게 했는지 저는 압니다. 바로 아브라함 협약의 방식이 적그리스도의 방식인 것입니다! 아브라함 협정 2020년 9월 15일 미국의 중재로 이스라엘이 바레인·아랍에미리트(UAE)와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협정을 말한다. 협정의 명칭은 유대교·이슬람교·기독교가 공통의 조상으로 여기는 '아브라함'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외국어 표기 | Abraham Accords(영어) | 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2020년 9월 15일 미국의 중재로 이스라엘이 아랍에미리트(UAE)·바레인과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협정을 말한다. 협정의 명칭은 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가 공통의 조상으로 여기는 ‘아브라함’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협정 서명식... terms.naver.com
위의 설명과 다음의 7년환란 달력의 마지막 해인 2027년의 왕의 재림의 시기를 비교해보세요!
아브라함 협정 첫 조인식 2020년 9월 15일 7년달력의 왕의 재림의 날짜 2027년 10월2일 이 기간이 몇년의 기간인가요?
트럼프의 거취가 어찌 될지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그래서 이 것을 포스트를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을 많이 했지요. 뭐 상관없습니다. 아니면 말고니까요 ^^
다음 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을 하는 기적같은 일이 벌어지면 쓰겠습니다. 이 포스트 내용의 신빙성을 완전히 뒷받침해줄 "항상함께"자매시리즈 2부가 남아있으니까요! 또한 "그가 그 이레의 절반에 제사와 예물을 금지할 것이며 " 이 날이 언제인지도 이미 알고 있으니까요 뭐 중간에라도 쓰고싶은거 생기면 또 쓸께요^^